목차
간호사 3교대 근무시간 및 병원 근무표에 대해 알아보자
간호사의 교대 근무는 크게 3교대와 2교대로 나눌 수 있습니다.
3교대 근무는 D(데이), E(이브닝), N(나이트)로 구분되며, 각 근무 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D (Day): 06:00 ~ 14:00
- E (Evening): 14:00 ~ 22:00
- N (Night): 22:00 ~ 06:00
이외에도 간호사들이 자주 언급하는 근무 용어로는 M(Mid-day), O(On-call), Off-duty가 있습니다. M은 주로 상근직 근무로 보통 08:00 ~ 16:00이나 09:00 ~~8:00로 이루어집니다. O는 On-call 근무로, 주간 근무 이후 특정 상황에 대비하여 대기하는 형태입니다.
근무표 용어 및 시간의 이해
간호사 근무표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들을 정리해 보면, D, E, N, M 등의 약어는 각각 데이, 이브닝, 나이트, 미드데이를 의미합니다. 이 외에도 간호사 근무표에서는 병원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사용되는 용어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규 간호사의 경우 근무 시작 시간이 더 일찍 잡히거나, 선임 간호사는 하루 업무가 조금 더 늦게 끝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신규 간호사는 아침 근무 시작을 위해 04:00에 출근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 근무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심지어 일부 병원에서는 신규 간호사들에게 오프 날에도 강제로 교육을 시키는 사례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유급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러한 근무 시간의 차이와 부가적인 교육이 신규 간호사들의 사직 이유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합니다.
간호사 2교대 근무표와 그 특징
간호사 2교대 근무는 주로 수술방이나 특수부서에서 시행됩니다. 2교대는 하루를 두 번으로 나누어 근무하는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시간대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 Mid-day: 08:30 ~ 16:30
- Mid-day(2): 09:30 ~ 17:30
- On-call: 17:30 ~ 08:30 (다음 날)
2교대 근무는 근무 시간이 길어지고, 특히 야간 근무가 매우 길어져 육체적인 피로가 크게 느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개인 생활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많은 간호사들이 힘들어하는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간호사 3교대와 2교대의 장단점 비교
간호사 3교대 근무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해 보면, 장점보다는 단점이 더 많이 부각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 장시간 교대 근무로 인해 생체 리듬이 깨져 암 발생률이 증가하는 등의 건강 문제는 많은 간호사들이 우려하는 부분입니다. 이는 S대학교병원 노조에서도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3교대 근무의 장점으로는 비교적 개인 시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육체적인 피로와 건강 문제는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힙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병원에서는 야간 전담 간호사를 두어 야간 근무를 전담하게 하여 생체 리듬을 안정시키려는 대안을 마련하기도 합니다.
2교대 근무의 경우, 3교대에 비해 근무 시간이 길고, 야간 근무의 피로도가 높아 개인 업무를 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근무와 휴식의 균형이 맞지 않아 잠만 자다가 다시 근무를 시작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며, 이는 간호사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국립대 및 대형 병원의 근무 정책 변화
국립대학교 병원에서는 만 40세 이상의 간호사에게 상근직 근무를 허용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육체적 피로를 줄이고 간호사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S대병원 노조에서 지속적으로 요구한 결과 도입된 것입니다.
상근직 근무로 전환되면서 일부 간호사들은 육체적 피로에서 벗어나 개인 업무나 자유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모든 병원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주로 국립대 병원이나 대형 병원에서만 시행되고 있습니다.
교대근무와 대책
간호사의 교대 근무는 오랫동안 논의되어 온 문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4교대 근무 체계나 교대 근무 시간을 줄이는 등의 대안이 제시되었지만, 문제는 간호사 인력 부족입니다. 병원에서는 간호사의 피로도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하면서도, 실제로는 인력을 충분히 충원하지 않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부 병원에서는 간호조무사를 간호사로 등급을 변경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지만, 간호조무사는 간호사와는 다른 직업으로 간주되며,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간호사는 전문적인 의료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를 돌보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인력 충원 없이 간호조무사로 대체하려는 시도는 간호의 질을 저하시킬 수밖에 없습니다.
결론
간호사의 3교대 근무는 환자를 24시간 돌보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그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피로는 간호사들이 극복해야 할 큰 도전 중 하나입니다. 특히 신규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긴 근무 시간과 강제 교육은 사직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교대와 3교대 모두 각기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과 인력 충원이 필요합니다. 간호사라는 직업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이들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더 나은 근무 조건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직업 직장 공무원 봉급표 수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기준법 월차휴가일수 연차휴가일수 계산 (0) | 2024.10.19 |
---|---|
소방공무원 봉급표 2024 | 소방공무원 직급 체계 및 월급 (0) | 2024.10.18 |
공무원 여비규정 지급 기준 식비 인상 국외여비규정 (0) | 2024.10.17 |
직장 내 괴롭힘 처벌 규정 (0) | 2024.10.12 |
정년연장 몇년생부터 시작될까? (0) | 2024.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