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성 이씨 (固城李氏) 항렬표(돌림자), 시조, 역사, 참판공파
고성 이씨는 경상남도 고성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로, 시조는 이황(李璜)입니다.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를 거쳐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과 가문이 다수 배출되었습니다. 현재도 전국적으로 집성촌과 대종회 활동을 통해 전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5년 기준, 고성 이씨의 인구는 약 10만 4,768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본관 고성 외에도 경기도와 충청남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등지에 집성촌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고성 이씨의 역사
고성 이씨의 시조 이황(李璜)은 고려 덕종 시기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낸 인물입니다. 전설에 따르면, 고성 이씨는 중국 전한(前漢) 문제 때의 중서사인(中書舍人) 이반(李槃)의 후손으로 전해집니다. 이반은 노자(老子) 이이(李耳)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원전 109년 한 무제가 조선을 침략할 당시 도호원수로 우리나라에 왔습니다. 이후 전쟁이 끝난 뒤 이 땅에 정착하며 후손이 이어졌다고 전합니다.
하지만, 이반과 시조 이황 사이의 세대 차이는 약 1,200년으로, 역사적 사실로 증명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이황은 덕종 2년(1033년) 1월, 거란군 일부를 사로잡은 공로로 1등급 승진했고, 문종 17년(1063년) 4월에는 호부상서(戶部尙書)로 임명되었습니다. 이후 철령군(鐵嶺君)에 봉해졌는데, 이 사건이 고성(固城)이라는 본관 명칭의 유래가 되었습니다.
주요 역사적 기록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이황은 고려 문종 대에도 활동하며 가문의 기반을 다졌습니다. 일부 기록은 이황이 생원시에 합격했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관직에 올라 많은 공적을 남긴 것으로 보입니다.
고성 이씨의 문화재
임청각(臨淸閣)
안동에 위치한 임청각은 보물 제182호로 지정된 고택으로, 석주 이상룡 선생의 생가입니다. 1519년 이명이 건립했으며, 일제강점기 당시 철도가 지나면서 일부가 훼손되었습니다. 현재도 고성 이씨 종가의 전통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평가받습니다.
소호헌(蘇湖軒)
소호헌은 조선 중기의 별당 건축물로, 이명이 그의 다섯째 아들 이고를 위해 지어준 건물입니다. 현재는 서해 가문으로 이어졌습니다.
고성 이씨의 분파
고성 이씨는 여러 분파로 나뉘어 각 파마다 독자적인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분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안정공파(安靖公派): 파조는 안정공 이숭(李崇)으로, 고려 말에서 조선 초를 대표하는 문신입니다.
- 둔재공파(鈍齋公派): 둔재 이대(李臺)를 파조로 하며, 중추원부사를 역임했습니다.
- 호군공파(護軍公派): 대호군을 지낸 이곡(李谷)을 파조로 합니다.
- 참판공파(參判公派): 이조참판을 역임한 이증(李增)을 파조로 합니다.
- 도촌공파(桃村公派): 어사대부를 지낸 도촌 이교(李嶠)를 파조로 합니다.
- 사암공파(思菴公派): 여러 벼슬을 지낸 사암 이지(李墀)를 파조로 합니다.
고성 이씨의 항렬표
고성 이씨의 항렬자는 각 파마다 다소 차이가 있으며, 대동항렬자를 사용하지 않고 각 분파가 독자적인 항렬자를 사용합니다. 아래는 주요 항렬표를 간략히 정리한 내용입니다.
- 고성 이씨 안정공파, 병사공파, 사암공파 항렬표
-
세 24 25 26 27 28 항렬자 불명 ◯수(壽) 선(善)◯ ◯연(淵) 종(種)◯ 세 29 30 31 32 33 항렬자 ◯렬(烈) 기(基)◯ ◯흠(欽) 영(永)◯ ◯식(植) 세 34 35 36 37 38 항렬자 병(炳)◯ ◯규(圭) 진(鎭)◯ ◯준(準) 동(東)◯ 세 39 40 41 42 43 항렬자 ◯찬(燦) 재(在)◯ ◯용(鏞) 낙(洛)◯ ◯영(榮) 세 44 45 46 47 48 항렬자 현(炫)◯ ◯균(均) 철(鐵)◯ ◯우(雨) 정(楨)◯
-
- 고성 이씨 참판공파 항렬표
-
세 24 25 26 27 28 항렬자 주(周)◯
◯묵(默)◯선(善) 정(庭)◯ ◯기(基) 종(鍾)◯ 세 29 30 31 32 33 항렬자 승(承)◯ ◯희(羲)
동(東)◯형(衡)◯
병(炳)◯
열(烈)◯
홍(烘)◯
영(煐)◯
광(炚)◯◯재(載)
◯중(重)
◯규(圭)
◯배(培)
◯균(均)◯격(垎)호(鎬)◯
진(鎭)◯
석(錫)◯
용(鎔)◯
박(鉑)◯
주(鉒)◯세 34 35 36 37 38 항렬자 ◯해(海)
◯하(河)
◯옥(沃)
◯유(洧)
◯홍(洪)
◯숙(淑)상(相)◯
영(榮)◯
계(桂)◯
정(楨)◯
백(栢)◯
창(椙)◯◯현(炫)
◯환(煥)
◯황(煌)
◯희(熙)
◯정(炡)
◯훈(熏)은(垠)◯
준(埈)◯
지(址)◯완(埦)◯
보(堡)◯
제(堤)◯◯수(銖)
◯흠(欽)
◯공(釭)
◯륜(錀)◯결(釨)
◯련(鍊)세 39 40 41 42 43 항렬자 순(淳)◯
태(泰)◯
명(洺)◯
호(浩)◯
연(演)◯
유(洧)◯◯모(模)
◯식(植)
◯두(杜)
◯군(桾)
◯표(標)
◯강(杠)미정
-
- 고성 이씨 도촌공파 항렬표
-
세 24 25 26 27 28 항렬자 선(宣)◯
◯춘(春)◯증(曾)
득(得)◯하(夏)◯
◯도(道)◯인(寅)
행(行)◯종(種)◯ 세 29 30 31 32 33 항렬자 ◯렬(烈) 기(基)◯ ◯호(鎬)
◯흠(欽)한(漢)◯
순(淳)◯◯정(楨)
◯모(模)
◯식(植)세 34 35 36 37 38 항렬자 현(炫)◯
희(熙)◯
병(炳)◯◯곤(坤)
◯재(在)
◯규(圭)은(銀)◯
용(鎔)◯
진(鎭)◯◯구(求)
◯영(永)
◯홍(洪)정(楨)◯
근(根)◯
영(榮)◯세 39 40 41 42 43 항렬자 ◯환(煥)
◯형(炯)
◯섭(燮)주(周)◯
원(垣)◯
준(埈)◯◯석(錫)
◯탁(鐸)
◯용(鎔)태(泰)◯
원(源)◯
문(汶)◯◯수(秀)
◯주(柱)
◯표(杓)세 44 45 46 47 48 항렬자 용(容)◯
연(然)◯
희(熹)◯◯교(敎)
◯배(培)
◯균(均)미정
-
- 고성 이씨 은암공파 항렬표
-
세 24 25 26 27 28 항렬자 ◯록(祿) 현(賢)◯ 운(雲)◯ ◯모(模) 태(泰)◯ 세 29 30 31 32 33 항렬자 ◯기(基) 종(鍾)◯ ◯영(永) 상(相)◯ ◯휴(烋) 세 34 35 36 37 38 항렬자 재(在)◯ ◯현(鉉) 하(河)◯ ◯율(栗) 형(炯)◯ 세 39 40 41 42 43 항렬자 ◯규(圭) 은(銀)◯ ◯수(洙) 서(棲)◯ ◯엽(燁) 세 44 45 46 47 48 항렬자 준(埈)◯ ◯호(鎬) 홍(泓)◯ ◯환(桓) 경(炅)◯
-
- 고성 이씨 둔재공파 항렬표
-
세 24 25 26 27 28 항렬자 불명 세 29 30 31 32 33 항렬자 불명 종(鍾)◯
석(錫)◯◯수(洙)
◯호(浩)근(根)◯
상(相)◯
동(棟)◯세 34 35 36 37 38 항렬자 ◯현(炫)
◯섭(燮)기(基)◯
증(增)◯◯호(鎬)
◯현(鉉)순(淳)◯
홍(洪)◯◯모(模)
◯권(權)
◯병(柄)세 39 40 41 42 43 항렬자 환(煥)◯
병(炳)◯◯배(培)
◯재(在)녹(錄)◯
용(鎔)◯
진(鎭)◯택(澤)
◯원(源)식(植)◯
영(榮)◯
환(桓)◯세 44 45 46 47 48 항렬자 ◯훈(勳)
◯희(熙)곤(坤)◯
준(埈)◯미정
-
- 고성 이씨 호군공파 항렬표
-
세 24 25 26 27 28 항렬자 혁(爀)◯
시(時)◯재(栽)◯
언(彦)◯현(鉉)◯ ◯원(原) 동(東)◯ 세 29 30 31 32 33 항렬자 ◯렬(烈) 기(基)◯ ◯호(鎬)
◯흠(欽)영(永)◯
영(泳)◯◯근(根)
◯환(桓)세 34 35 36 37 38 항렬자 경(炅)◯
형(炯)◯◯규(圭)
◯균(均)종(鍾)◯
강(鋼)◯◯구(求)
◯수(洙)주(柱)◯
영(榮)◯세 39 40 41 42 43 항렬자 ◯휴(烋)
◯희(熙)경(坰)◯
재(在)◯미정
-
- 고성 이씨 좌윤공파 항렬표
-
세 24 25 26 27 28 항렬자 불명 세 29 30 31 32 33 항렬자 불명 병(柄)◯
형(衡)◯◯재(在)
◯중(重)호(鎬)◯
진(鎭)◯세 34 35 36 37 38 항렬자 ◯해(海)
◯하(河)상(相)◯
영(榮)◯◯돈(燉)
◯환(煥)은(垠)◯
규(奎)◯◯수(銖)
◯흠(欽)세 39 40 41 42 43 항렬자 한(漢)◯
영(泳)◯◯병(秉)
◯식(植)미정
-
- 고성 이씨 동추공파 항렬표
-
세 24 25 26 27 28 항렬자 불명 세 29 30 31 32 33 항렬자 불명 ◯식(植) 희(熙)◯
병(炳)◯◯기(基)
◯재(在)
◯곤(坤)세 34 35 36 37 38 항렬자 진(鎭)◯
은(銀)◯
용(鏞)◯◯영(永)
◯구(求)
◯홍(洪)근(根)◯
영(榮)◯
정(楨)◯◯환(煥)
◯형(炯)
◯섭(燮)규(圭)◯
원(垣)◯
준(埈)◯세 39 40 41 42 43 항렬자 ◯호(鎬)
◯탁(鐸)
◯용(鎔)태(泰)◯
원(源)◯
문(汶)◯◯표(杓)
◯왕(枉)
◯수(秀)용(容)◯
연(然)◯
현(炫)◯◯균(均)
◯배(培)
◯교(敎)세 44 45 46 47 48 항렬자 선(銑)◯
현(鉉)◯
종(鍾)◯◯수(洙)
◯한(漢)
◯철(澈)미정
-
각 항렬자의 위치나 순서는 세보나 분파별 전통에 따라 다르며, 이러한 차이는 고성 이씨 가문의 다양성을 나타냅니다.
고성 이씨와 왕실의 관계
고려 왕실과의 관계
도촌공파 11세 이림(李琳)의 셋째 딸은 고려의 근비(妃)로 책봉되며 왕실과의 연을 맺었습니다.
조선 왕실과의 관계
조선 태종의 후궁이 된 혜순궁주(惠順宮主)는 도촌공파 13세 이운로의 딸로, 족보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중요한 역사적 연결고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주요 집성촌
고성 이씨는 대한민국 전역에 집성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주요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신충리
-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외곡리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리
- 평안북도 삭주군 외남면 송남리
결론
고성 이씨는 고려와 조선을 아우르는 깊은 역사를 자랑하는 성씨로, 수많은 분파와 독자적인 항렬자를 통해 전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왕실과의 관계, 문화재, 주요 인물 등을 통해 한국 역사와 사회에 큰 기여를 해왔으며, 오늘날에도 그 전통과 가치를 계승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들의 역사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노력이 이어지길 기대합니다.
'역사, 이름, 항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 쓰는 법 (어머니, 아버지, 조부모, 동생, 형제, 자매, 남편, 아내 할아버지) (0) | 2025.01.14 |
---|---|
반남 박씨 항렬표(돌림자), 유래, 시조, 역사, 유명인 (0) | 2024.12.12 |
조선시대 현감과 별감의 뜻과 품계 (0) | 2024.11.24 |
죽산 안씨 항렬표, 족보 연창위 종가, 분파 소감공파, 합천공파(협천공파), 문강공파, 이재공파, 제학공파 (0) | 2024.11.02 |
예쁜 여자 영어 이름 요즘 인기있는 미국 여자 이름 순위 (0) | 2024.10.25 |